[칼럼] 쌀 생산 기반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칼럼] 쌀 생산 기반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하은경
  • 승인 2014.07.25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뉴스투데이 하은경 기자] 정부가 쌀 수입을 관세화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정말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다. 쌀 관세율 결정, 쌀 수입 관세화 이후의 쌀농업 정책 수립 등 우리 농업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 넘어 산이다.

쌀 관세율 결정은 정부가 적정한 관세율을 정해 관세화로 전환하기 3개월 전에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하면 이해 당사국들의 검증을 거쳐 WTO가 인정하는 절차로 이뤄진다.

우리보다 먼저 관세화를 단행한 일본이나 대만의 선례와 WTO 규정을 신중히 고려해 쌀 수입을 막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관세율을 책정한다.

하지만 무리하게 높은 관세율을 책정하게 되면 이해 당사국들이 트집 잡을 수 있다. 관세율 협상은 몇 년이 걸릴지 모르는 지루한 협상이다. 따라서 WTO에 통보한 관세율을 관철 하려면 무엇보다 정부와 농업인들의 신뢰가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전체 쌀 재배면적인 약 85만㏊이다. 이 중 평균 6㏊ 정도를 경작하는 약 7만 호의 전업농들이 쌀농사의 절반을 맡고 있다.

쌀 정책에 있어서는 쌀 농가에 미래의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들 전업농에 가장 절실한 것은 소득불안 해소다. 현재는 쌀 직불제로 소득 불안 문제가 해결 할 수 있으나, 미래에 대한 소득 안정 제도가 필요하다.

전업농들이 불안하게 생각하는 수입쌀과 국산쌀이 혼합돼 부정 유통되지 못하도록 하는 쌀 유통의 단속 수단과 특히 쌀 생산보다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드는 쌀 수요에 대한 대책이다.

이에 따라 쌀을 안정적으로 소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한다.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개발을 활성화 하면서 쌀 가공 식품들의 다양한 개발과 우리 전통식단에 대한 우수성 알려 국산 쌀의 소비를 권장해야 한다.

쌀 관세화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사후정책에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쌀 관세화 이후의 쌀 농업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농업인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일이다.

농업인들의 불안 해소를 위해서는 먼저 정부가 농업인에 다가가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 또 우리나라에서 쌀은 식량 안보 차원에서 다뤄야 함으로 쌀 생산 기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부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Copyrights ⓒ 한국뉴스투데이(
www.koreanewstoda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은경 news@koreanews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