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 부작용 심각하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 부작용 심각하다.
  • 한국뉴스투데이
  • 승인 2016.09.13 12: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라는 용어가 교육 분야에 많이 등장하고 있다. 교육현장을 산업현장에 맞춰 교육 및 기술, 자격 기준을 충족시키는 등 체계화 하자는 취지다.

현장형 인재 양성이라는 취지는 좋다. 방법이 문제다.

고등교육은 교육현장에서의 특화된 환경을 인정해야 한다. 고등교육의 중심인 대학은 중·고등학교와 달리 고유의 교육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NCS라는 획일화된 방법으로 모든 과목을 단순하고 기계적인 방법으로 주입시키고 있다.

자동차 분야의 경우 기술은 물론 개념조차 크게 변모하고 있다. 다양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한 상황에 현재의 NCS정책은 변화를 가르칠 시간적 여유를 용납하지 않는다.

NCS에 의한 평가방법만 과목당 100가지다. 한 학기 내내 가르치지 못하고 평가만 하는 것이다. 과목당 형식적인 자료 정리만 적어도 100쪽은 된다.

교육당국은 과목당 담당교수가 학생 40명의 평점을 내기 위해 1000번의 클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겠다. 초등학교 교사가 교육이 아닌 서류 정리에 시간을 다 보낸다고 하는 소리가 있는데 NCS가 이 꼴이다. 대학이 초등학교화 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을 받은 졸업생이 현장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일반 4년제 대학은 손대지 못하면서 목소리 약한 전문대학에만 제도를 적용하는 행태도 그렇고 선택의 여지도 없는 갑을관계에 의존한 밀어붙이기식 행정도 안이하다.

다른 분야와 달리 교육 분야는 시행착오가 불가능하고 망가지면 회복이 불가능하다.

이미 대학들은 학생들의 평가방법에서 다양성을 높이고 있다. 앞으로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초점을 맞춰 필요시 새 교과 및 교육과정표를 개설하는 등 교육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NCS 적용 대학 소속 교수들도 90% 이상이 제도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선에서 직접 해보고 진행하는 것인지 다시 한 번 묻고 싶다. 굳이 NCS를 적용한다면 직업학교 등 같은 정형화된 교육시스템이 필요한 영역에 한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이제부터라도 정부는 재정지원을 무기 삼은 밀어붙이기식 정책이 아닌 선택을 기반으로 한 NCS를 적용해야 한다. 공청회 등을 통한 사전 의견 수렴도 한 방법이다.

대학도 눈치만 볼 것이 아니라 자율적인 의지를 갖고 학과별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뉴스투데이 webmaster@n341.ndsoft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