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디젤자동차 운행 중지라는 카드를 제시했다. 아울러 친환경차 활성화와 임기 내 전기이륜차 260만대 보급 등 다양한 관련 정책을 언급했다.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대책들이다. 미세먼지 대책이 분명 정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다만 디젤차 퇴출이라는 공약이 실현 가능한 것인가 여부는 따져봐야 할 일이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디젤차는 소비자에게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디젤은 가솔린 대비 유류가격이 약 15% 저렴하고 연비도 20% 이상 높다.
이러한 이유에서 국내 수입차 브랜드는 디젤이 대부분의 물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완성차 메이커들도 디젤차 비중을 늘리는 형국이다.
석유자원이 엄연히 존재하는데 디젤차를 완전히 배제한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분명한 사실은 그렇다고 디젤차 보급이 확대될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디젤차에 규제는 앞으로도 확산될 것이고 이에 대비해 친환경차 인센티브 정책은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국제 환경 기준은 갈수록 강화되고, 업체들도 친환경차의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노르웨이는 오는 2025년까지 모든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지한다고 선언했고, 이러한 움직임은 네덜란드 등 인접국가로 확산되고 있다.
당분간은 디젤차는 물론 내연기관차 및 친환경차 등 다양한 차종이 중첩되는 시대인 셈이다.
앞으로 미래 먹을거리와 환경보호 즉, 경제와 건강이 자동차들에 의해 좌우된다. 현명하고 치밀한 전략이 필요한 시기다. 디젤차라고 해서 무조건 배제만 하려들지 말고 여러 차종이 혼합된 시대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맡겨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