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차량 일반인 구매 허용...소비자 '기대반 우려반'
LPG 차량 일반인 구매 허용...소비자 '기대반 우려반'
  • 이근탁 기자
  • 승인 2019.03.27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클린디젤정책 전철 밟나
수소차 활성화의 과도기
▲LPG충전소에서 연료 충전중인 LPG차량 (사진/뉴시스)
▲LPG충전소에서 연료 충전중인 LPG차량 (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26일부터 '액화석유가스(LPG)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일부 개정 법률'을 공포·시행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지금까지 장애인, 렌터카업체, 택시 등 특수 계층, 사업자에게만 허용하던 LPG 차량의 신규·변경·이전 등록을 일반에게 허용, 확대하는 것이다. 또 기존 휘발유 차량과 경유차량을 LPG 차량으로 개조하는 것도 허용했다. 국내 환경문제 가운데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는 가운데 LPG 연료가 석유연료보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적은 점이 이번 개정안의 배경이 됐다는 평가다. 한편 LPG 차량 규제가 풀리면서 주식시장에 상장된 LPG관련주와 해당 차량의 구매 문의가 폭등하는 등 관심이 모이고 있다.

LPG 등장과 규제

LPG의 정식 명칭은 액화석유가스며 주로 가정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LNG(액화 천연가스)와는 구별되는 연료다. 원유를 시추할 때 함께 나오는 탄화수소를 액화(기체를 액체로 바꿈) 한 것으로 액화 기술이 개발되기 이전까지는 자원으로써 가치가 없었다.

하지만 1910년 미국 화학자 월터 스넬링(Walter O. Snelling)LPG 생산기술개발에 성공한 이후 난방이나 취사 등 가정에 공급하고 1928년 수송용 트럭 연료로 사용하는 등 상용화에 성공했다.

국내에선 1959년 미군에 의해 처음 소개됐으며 1970년대 국제 석유 가격이 상승하는 이른바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LPG의 경제성은 더욱 부각됐다.

이후 1982LPG 차량이 도입됐지만 연료 수급불안 문제로 택시나 장애인 등 일부 계층에 한하여 이용할 수 있었다. 사실상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사용을 규제해온 것이지만 이 문제는 다소 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이번 개정안 발표에 앞서 현재 전 세계 LPG 공급 평균 잉여량이 540만 톤에 이른다 고 밝히며 개정안의 배경을 설명했다.

LPG의 가격경쟁력

이번 LPG 차량 규제완화로 가장 기대되는 효과는 유류비 감소. 지역 및 주유소별 차이가 있지만 현재 휘발유, 경유, 차량용 LPG의 리터당 가격은 각각 1.300원 대, 1,200원 대, 800원대로 LPG의 가격경쟁력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지비 절감의 효과로 LPG 차량 구매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약 210만 대 등록돼있는 LPG 차량 규모가 2030년에는 282만 대 까지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격 인상 가능성

하지만 소비자들이 LPG 차량의 구매를 망설이는 이유 중 하나로 추후 가격 인상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 꼽힌다.

업계에서는 수요가 늘면 가격이 상승하는 경제 기본원리에 따라 추후 LPG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지난 11월 경유차에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클린디젤 정책이 공식 폐지된 것이 불안감을 더한다.

2009년 이명박 정부 당시 경유차가 탄소배출이 적고, 연비가 우수하다는 점을 들어 경유차 우대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현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정책과 엇박자가 나면서 경유차에 대한 모든 혜택이 사라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LPG 차량 규제완화역시 클린디젤 정책의 전례를 따라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다.

충전소 부족, 안전 우려

기존 운전자들 사이에서 LPG 차량의 가장 큰 단점으로 충전소 부족이 꼽힌다. 실제 전국 주유소 등록수는 약 12,000여 곳 인 반면 LPG충전소는 약 1,900여 곳으로 6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치는 현실이다.

LPG 차량 구매 시 집이나 직장 근처에 충전소가 있는지또는 충전소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할 여력이 있는지등을 신중히 따져봐야 한다.

또한 지난해 ‘LPG 차량 운전자에 대한 안전교육 제도가 폐지되면서 안전성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기존 수소충전소 구축지점과 설치중인 수소충전소 (사진/환경부)
▲기존 수소충전소 구축지점과 설치중인 수소충전소 (사진/환경부)

수소차 현황

한편 정부는 지난 1미세먼지 저감정책의 일환으로 수소경제 활성화를 선언한 바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현재 1,800여 대 수준의 수소 승용차 보급을 2040년까지 620만 대(내수 290만 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당장 올해까지 4,000대 이상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책을 발표한지 약 2개월 만에 LPG 차량 규제가 풀리면서 수소차 활성화정책에 걸림돌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LPG 차량 확대가 일종의 과도기로 평가하고 있지만 현재 15개소에 불과한 수소충전소2022년까지 310개소 까지 확대해야 하는 등 수소차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LPG충전소 확충까지 고심해야 한다.

한편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LPG 차량 허용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차량 구매자의 선택폭이 확대되고 무엇보다 차량 유지비 절감에 기대를 보이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LPG 차량은 약 10여 종으로 차량에 대한 선택폭은 좁은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지만 ‘LPG 차량 허용이 발표되자마자 르노삼성자동차가 SM6, SM7 LPG 모델 판매를 개시하는 등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다양한 LPG 차량 모델이 출시될 전망으로 '차량 선택폭 부족'문제는 다소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근탁 기자 maximt2@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