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덴셜 매물 등판, “외국계 보험사 탈출 신호탄 될까?”
푸르덴셜 매물 등판, “외국계 보험사 탈출 신호탄 될까?”
  • 손성은 기자
  • 승인 2019.12.02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진출 28년 매각 추진 작업…하자 없어 보이는데
지난 몇 년간 한국 생명보험 시장 영업환경 지속 악화
외국계 보험사 탈출 신호탄?…몸값 떨어지기 전에 승부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부진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외국계 보험사들이 한국 보험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부진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외국계 보험사들이 한국 보험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외국계 알짜 중견 생명보험사로 평가받던 푸르덴셜생명이 매물로 깜짝 등판해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푸르덴셜생명의 경우 한국 시장에서 줄곧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던 만큼 매물 등장은 의외라는 평가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일각에선 이번 푸르덴셜생명의 매물 등장이 외국계 보험사들의 한국 보험시장 탈출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푸르덴셜생명 깜짝 매물 등장에 업계 술렁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계 생명보험사 푸르덴셜생명이 인수합병 시장 매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푸르덴셜파이낸스는 한국 푸르덴셜생명의 매각 주관사로 골드만삭스롤 선정, 매각 절차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91년 한국 보험 시장에 진출한 푸르덴셜생명은 올해로 28년간 생명보험 영업을 영위하고 있는 알짜 중견 생보사다.

푸르덴셜생명이 한국 생보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고 있던 만큼 매각 작업을 추진한다는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 적지 않다.

실제로 올해 실적 역시 나쁘지 않다. 지난 9월 말 기준 총자산 규모 약 20조원, 수입보험료 1조7743억원, 당기순이익 1464억원이다. 신계약‧수입보험료 규모는 업계 중위권에 해당하지만, 순이익 규모만큼은 전체 24개 생보사 중 7위에 해당한다.

재무건전성 역시 매우 양호한 상태다. 올 상반기 RBC(보험금 지급여력) 비율은 505.13% 업계 상위권을 기록했고, 상품 포트폴리오 역시 보장성보험 위주로 구성돼 새 회계기준 도입 자본 확충 부담이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빠질 것 없는 푸르덴셜생명 매물 등장 왜?

실적만 놓고 보면 푸르덴셜생명은 업계를 선도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뒤처진다고 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매각 작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선 푸르덴셜생명의 매각 추진 배경으로 한국 생보 시장의 업황 부진과 시장 화경 변화를 지목하고 있다.

한국 생보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둔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119조원이었던 생보업계의 수입보험료 및 원수보험료는 2017년 113조원, 2018년 110조원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이 2016년 2조4000억원, 2017년 3조9000억원, 2018년 4조원으로 증가했으나 이는 새 회계기준 도입에 대비한 자산 매각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보험 시장, 그중에서도 생보 시장 환경은 결코 우호적인 환경이 아니다. 시장 포화 현상이 한계에 도달한 가운데 2022년 도입되는 IFRS(국제회계기준) 17은 생보사의 대규모 자본확충과 영업 방식 변화를 강제하고 있다.

생보업계는 새 회계기준 도입 대비로 큰 변화를 겪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매출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부채의 시가 평가를 골자로 하는 IFRS 17 도입 시 저축성보험 판매는 보험사의 부채 규모 증가로 이어진다.

때문에 생보업계는 기존 상품 판매 포트폴리오에서 저축성보험 비중을 축소하고 있다. 문제는 저축성보험 판매 비중 축소로 나타난 매출 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매출 감소를 만회하기 위해 보장성보험 판매 비중을 늘려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 푸르덴셜생명… 외국계 생보사 탈출 신호탄?

현재 생보업계는 기존 생보사들의 경쟁 외에도 손해보험사들과 경쟁을 하고 있다. 한정된 시장에서 보장성보험 판매 비중을 확대하려다 보니 손해보험사와 경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푸르덴셜생명의 매각 추진을 한국 생보시장의 어두운 전망 때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일각에선 푸르덴셜생명이 매각될 경우 이를 신호탄으로 타 외국계 생보사들의 한국 시장에서 발을 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과거 선진 보험 문화 앞세워 서구권 생보사들은 한국 시장에 진출했지만 최근 몇 년 사 한국 시장에서 발을 빼는 모습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각종 규제와 새 회계기준 도입 부담 등으로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2013년 한국 시장에 진출했던 유럽계 생보사 ING생명이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이어 지난 2016년 알리안츠생명이 한국 시장에서 철수, 회사를 중국 안방보험에 매각했다. 특히 알리안츠생명의 경우 당시 매각가에 35억원에 불과해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뒤를 이어 지난 2017년에는 PCA생명이 미래에셋생명에 인수, 한국 시장에서 떠났다.

업계 일각에선 푸르덴셜생명을 신호탄으로 타 외국계 보험사들이 한국에 철수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매각작업을 추진 중인 푸르덴셜생명과 앞서 한국 시장에서 떠난 PCA생명 모두 안정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던 도중 한국 시장을 철수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는 한국 보험시장이 더는 외국계 보험사에 있어 매력적인 시장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생보시장 경쟁 심화에 더불어 보험 관련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등 한국 보험시장은 과거와 달리 영업하기 좋은 시장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생보 시장의 포화 상태가 이미 한계에 도달했고 새 회계기준 도입 역시 부담이다”라며 “경쟁 심화 속 매출 성장이 쉽지 않은 가운데 최근에는 조금 완화가 되는 듯 하난 지난 몇 년 사이 관련 규제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재 매출 규모에 상관없이 한국 생보 시장은 관련 규제나 시장 환경 등을 볼 때 성장 둔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외국계 보험사 입장에선 당장에 안주해 훗날 몸값이 떨어진 채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느니 제 몸값을 받을 수 있을 때 철수하는 게 이득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손성은 기자 katpa84@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