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비대위 체제 좌초,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
김종인 비대위 체제 좌초,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
  • 이주현 기자
  • 승인 2020.04.29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선자 총회에서도 결론 내리지 못해
상임전국위는 정족수 미달로 문 닫고

4개월짜리 비대위 출범에 김종인 ‘묵묵부답’
상임전국위서 당헌당규 개정해야 하는 상황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바른사회운동연합 주최 '21대 국회, 어떻게 해야 하나' 토론회에 참석했다.(사진/뉴시스)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바른사회운동연합 주최 '21대 국회, 어떻게 해야 하나' 토론회에 참석했다.(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좌초되면서 앞으로 미래통합당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게 됐다. 지난 28일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임기에 대한 당헌·당규 개정을 할 예정이었지만 정족수 미달로 실패했고 전국위원회에서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 체제는 가결됐다. 4개월짜리 비대위가 탄생했지만 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 체제를 맡을지 여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리지 못했다.

“거절 의사 표시를 하지 않았다. 수락 의사 표시도 전혀 없었다” “와인만 마시고 나왔다”
심재철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과 김재원 정책위의장이 28일 밤 비상대책위원장직 수락을 설득하기 위해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의 자택을 방문한 후 기자들에게 했던 말이다.

비대위원장직을 맡아달라고 설득했지만 사실상 설득에는 실패했다는 이야기다. 이날 미래통합당은 오전부터 분주하게 움직였다. 당선자 총회를 열어 김 전 위원장을 비대위원장에 앉히는 것을 두고 격론이 벌어졌다.

◇ 김종인 체제는 수용, 절차는 ‘글쎄’

당선자들은 대체적으로 김종인 비대위 체제는 수용하는 분위기였지만 절차에 대한 문제제기를 했다. 낙선자인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추진할 것이 아니라 당선자들끼리 차기 원내대표  경선을 치러서 차기 원내대표가 비대위 체제에 대한 운명을 결정해야 한다는 분위기였다.

이런 분위기는 상임전국위원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상임전국위에서 비대위 임기에 대한 당헌·당규를 개정할 예정이었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자리에 앉아도 오는 8월말까지가 임기인 4개월짜리 비대위원장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임전국위는 정족수 미달로 결국 열리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불만을 품은 중진들이 상임전국위원들에게 참석을 하지 말라고 전화를 돌렸다는 소문도 돌았다.

잇달아 열린 전국위원회에서는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대한 안건이 상정됐고, 결국 가결됐다.

이는 미래통합당의 현 주소를 그대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비대위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중진들도 계속해서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임기의 끝이 없는 절대권력의 비대위에 대해서는 반대 한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그런 것이 이번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의 결과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설득하러 갔지만 설득도 못해

이날 저녁 결국 심 권한대행과 김 의장이 김 전 위원장을 설득하려고 자택에 갔지만 설득도 하지 못하고 집에서 나와야 했다. 김 의장의 말에 따르면 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수락도 아니고 거절도 아닌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했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비대위원장은 마음에 들지 않지만 당헌당규를 개정해서 다시 찾아온다면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해석된다.

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 체제를 놓고 계속해서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해왔다. 김 전 위원장의 화법 자체가 워낙 애매모호한 화법이기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김 전 위원장이 사실상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한 것이지만 절차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인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즉, 임기가 8월말로 돼 있는 것을 임기를 늘리는 당헌당규 개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헌당규를 개정하기 위해서는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야 한다. 그러자면 세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당장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상임전국위 개최를 다시 한 번 알리는 것이다. 하지만 현 상임전국위원들로 구성돼 있을 경우 다시 열리게 된다면 정족수 미달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만약 정족수 미달로 상임전국위가 또 다시 개최되지 못한 불상사가 발생한다면 미래통합당은 물론 김 전 위원장 리더십에도 상처가 난다. 이런 이유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상임전국위를 여는 문제를 신중하게 생각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 다른 방법은 당선자들끼리 새로운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그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를 꾸려서 새로운 상임전국위원들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그러자면 시간이 상당히 오래 갈린다는 단점이 있다.

◇ 김종인의 선택은

세 번째 방법은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자리에 앉고 난 후 상임전국위원들을 교체한 후 상임전국위를 여는 방법이다. 이렇게 될 경우 자신의 임기를 셀프로 연장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결국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첫 번째나 두 번째 방법 이외에는 없다. 다만 첫 번째 방법보다 두 번째 방법이 시간이 오래 걸려도 현실성이 가장 높다.

또한 당선자들끼리 의견이 모여진 것이기 때문에 당을 화합시키는 가장 최적의 방법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김 전 위원장이 그때까지 기다려줄지는 미지수다. 김 전 위원장이나 미래통합당이나 시간이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미래통합당이 2022년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개혁과 쇄신을 해야 하는데 이런 문제로 발목이 잡힌다면 제대로 된 개혁과 쇄신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대해서는 누구나 인정하지만 그가 행사하는 권력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기 때문에 김종인 비대위 체제의 운명이 어떻게 바뀌게 될지 아무도 예측하기 힘들다.

이주현 기자 leejh@koreanewstoday.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