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매 중단된 디스커버리 펀드 제2의 라임 될까
환매 중단된 디스커버리 펀드 제2의 라임 될까
  • 조수진 기자
  • 승인 2020.05.08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자들, "사기 판매"주장
현재 실사 중인 펀드 손실률 커질 우려 제기
지난달 28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운용 펀드 중 환매가 중단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지난달 28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운용 펀드 중 환매가 중단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한국뉴스투데이] 희대의 금융 스캔들이라는 라임 사태에 이어 환매 중단된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환매가 중단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가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을 통해 가장 많이 팔렸고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 장하원씨가 펀드를 운용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대표를 맡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 투자금 묶인 디스커버리 펀드가 뭐길래?

지난달 28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운용 펀드 중 환매가 중단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지난 3월까지는 원금 회수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이후 기업은행 부행장과의 미팅에서 원금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언급되면서 집단 행동에 나섰다.

이들이 투자한 디스커버리 펀드 중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설계하고 운용한 펀드로 미국 운용사인 다이렉트랜딩인베스트먼트(이하 DLI)에 의해 현지에 투자됐다.

지난 2017년부터 기업은행 등을 통해 판매된 펀드 규모는 1800억원으로 기업은행은 이 중 695억원을 팔았다.

문제는 지난해 4월 해당 펀드의 투자금을 운용하는 DLI가 수익률과 투자 자산 가치 등을 당국에 허위로 보고한 것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적발돼 사기 혐의로 고발되면서 자산이 동결됐다.

특히 지난달에는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등을 통해 판매된 US핀테크부동산담보부채권 펀드와 US부동산선순위채권 펀드까지 환매가 연기된 상황이다. 해당 펀드의 규모는 1000억원이다.

현재 실사가 진행 중이라 손실 규모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미국 현지 언론은 60% 이상의 손실률을 예상하고 있어 해외 투자가 손실로 이어졌다는 점이나 손실률이 많다는 점 등이 같아 제2의 라임 사태가 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4월 12일 취임 100일을 맞은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디스커버리 펀드와 관련해 판매사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사진/뉴시스)
지난 4월 12일 취임 100일을 맞은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디스커버리 펀드와 관련해 판매사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사진/뉴시스)

◇ 디스커버리 펀드가 주목받는 다른 이유

디스커버리 펀드가 주목받는 이유는 또 있다. 국책은행이 기업은행이 가장 많이 펀드를 팔았고 펀드가 판매되던 시점에 운용사 대표가 청와대 실세라는 점이다.

앞서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으로부터 받은 투자 제안서에는 해당 펀드 위험등급이 6등급 중 1등급으로 매우 높은 위험에 해당하는 고위험 펀드 상품이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기업은행이 이를 숨기고 “손실 위험이 없는 대신 연 3%의 수익을 내는 안전한 펀드”라며 속여 펀드를 팔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당 주장이 사실일 경우 판매사가 고객에게 금융상품을 판매할 때 상품에 대한 내용 및 투자위험성 등에 대해 안내없이 판매한 불완전판매에 해당된다.

투자자들은 기업은행이 불완전판매를 넘어선 사기 판매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업은행은 투자자들의 주장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해당 펀드의 운용사인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장하원 대표가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 대사란 점이 주목받으며 정권 연계설까지 제기됐다.

2017년 초 수탁액이 500억원에 불과했던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장하성 당시 정책실장이 실세로 있던 2017년 5월부터 급성장했고 사의를 표명한 2018년 11월까지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해당 펀드를 가장 많이 팔면서 당시 실세가 영향력을 끼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기업은행은 일각에서 제기된 정권 연계설 의혹을 일축했고 현지 실사 결과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조수진 기자 hbssj@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