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코로나 충격에 뜨거운 감자 된 ‘등교 개학’
이태원 코로나 충격에 뜨거운 감자 된 ‘등교 개학’
  • 박성규 기자
  • 승인 2020.05.19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등교 개학, 더는 미룰 수 없어"... 학사 일정 등 부담
교육 현장 ”코로나19 확진자 나올 시 공정성 큰 문제“ 토로
일각서는 ”세계 표준 맞출 겸 전체 새 학기 9월로 하자“ 주장

교육부가 코로나19의 확산세와 장기화로 인해 미뤘던 등교 개학을 79일만에 실시한다. 황금연휴 이후 이태원 클럽에서 재확산 되고 있는 상황에서 등교 개학이 강행되자 코로나 집단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는 학교방역을 강화하고 대면 수업을 재개한다는 입장이다. <편집자 주>

▲ 교육부가 오는 20일 등교 개학을 공식화했다. 교육부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11일 발표한 일정대로 오는 20일 고3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며 "등교를 무기한 연기하기보다는 방역 조치를 철저히 하면서 동시에 등교를 개시해야 한다고 봤다"고 밝혔다. 사진은 등교 개학을 앞두고 교실 소독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 교육부가 오는 20일 등교 개학을 공식화했다. 교육부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11일 발표한 일정대로 오는 20일 고3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며 "등교를 무기한 연기하기보다는 방역 조치를 철저히 하면서 동시에 등교를 개시해야 한다고 봤다"고 밝혔다. 사진은 등교 개학을 앞두고 교실 소독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교육부가 예고한 등교 개학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이에 대한 논란 역시 거세다. 특히 교육부와 현장의 목소리가 달라 우려를 낳고 있다.

◇ 교육부 이야기 : 등교개학, 더는 미뤄둘 수 없다

최근 이태원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강해지면서 등교 개학을 미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부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11일 발표한 일정대로 오는 20일 고3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며 "등교를 무기한 연기하기보다는 방역 조치를 철저히 하면서 동시에 등교를 개시해야 한다고 봤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고3은 사회 진출 혹은 상급학교 진학 전 마지막 단계에 있는 만큼 지난 11년간의 준비가 코로나19와 같은 불가항력적 사항으로 인해 피해를 보게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부가 이렇게 등교 개학을 서두르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해 빡빡해진 대입 일정과도 맞물려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부는 앞서 2021학년도 수능 날짜를 11월 19일에서 12월 3일로 연기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일정을 유지해도 다음 해 2월 말까지 대학별 추가합격자를 모집한 뒤 이틀 후인 3월 2일 개강하게 되는 일정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학 입학 시기를 연기하지 않는 이상 정상적 대입 일정을 치를 수 없다고 교육부는 판단했다.

이에 교육부는 우선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 동안을 '집중 방역 주간'으로 정하고 각 학교는 학교별 여건에 따라 학교 내 밀집도와 학생 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학사운영을 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교육부가 학교 방역과 관련해 적용할 수 있는 공통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교육부 vs 현장, 다른 목소리 나오다

교육부의 등교 개학 예고에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학교방역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전교조는 지난 18일 ”학교는 방역의 최전선이 아니며 교사가 방역책임감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주장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전교조는 “많은 감염병 전문가와 학교 구성원들 우려에도 교육부는 20일 고3 등교 수업을 강행하고 있다”며 “등교 여부 판단은 전문가와 방역 당국 판단에 기초한다는 대원칙이 사라졌다. 입시를 내세워 학생들 안전이 뒷전으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도 등교 개학 후 코로나 확진자가 나타날 경우, 일부 학교나 일부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학교와 학생 간 공정성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부가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격일 수업 혹은 격주 수업으로 진행할 경우 시간표 구성 및 학급별 공평한 수업 진행에도 방해가 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지역 4개 학부모단체 역시 지난 15일 “연휴 이후 잠복기인 최소 2주가 지난 후 등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방역전문가들 권고를 무시하고 등교를 밀어붙인 게 문제”라는 내용의 논평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지난달 24일 올라온 등교 시기를 미뤄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19일 오후 2시 현재 23만4316명의 동의를 받아 현장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줬다.

▲ 이렇게 등교 개학을 두고 현장과 교육부가 파열음을 내자 일각에서는 외국처럼 9월 학기제 도입을 검토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의 지역감염이 이어지고 있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9월 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세계 표준에 맞추자는 것이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지난 14일 한 방송에서 "학생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새로운 발상의 전환도 해야 한다”며 9월 학기제 찬성 의사를 피력하기도 했다. (사진/뉴시스)
▲ 이렇게 등교 개학을 두고 현장과 교육부가 파열음을 내자 일각에서는 외국처럼 9월 학기제 도입을 검토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의 지역감염이 이어지고 있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9월 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세계 표준에 맞추자는 것이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지난 14일 한 방송에서 "학생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새로운 발상의 전환도 해야 한다”며 9월 학기제 찬성 의사를 피력하기도 했다. (사진/뉴시스)

◇ 우리도 외국처럼? 코로나19에 탄력받는 ‘9월 학기제’

이렇게 등교 개학을 두고 현장과 교육부가 파열음을 내자 일각에서는 외국처럼 9월 학기제 도입을 검토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코로나19의 지역감염이 이어지고 있고,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9월 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세계 표준에 맞출 겸 전체 학교급의 새 학기를 애초 3월이 아닌 9월로 하자는 것.

실제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지난 14일 한 방송에 출연해 “사실상 등교수업을 하면 모의고사와 각종 수행평가까지 고려하면 20일에 한번꼴로 시험이 몰려있기 때문에 학생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새로운 발상의 전환도 해야 한다”며 9월 학기제 찬성 의사를 피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9월 학기제에 사실상 반대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이미 온라인 개학으로 4월부터 학사일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4월 개학을 한 상태에서 9월 학기제를 논의한다는 것은 교육부가 스스로 원격수업을 정상수업이 아님을 자인하는 꼴”이 될 것이므로 교육부가 주도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9월 학기제로 변경할 경우 12년간 약 10조원에 달하는 예산 부담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혼란을 줄 수 있다는 현실적 이유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교육부의 입장과는 달리 교육계 안팎으로 9월 학기제같은 장기적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 전문가는 “지금 등교해도 이전과 같은 수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육부가 수업일수, 대학입시 예고제를 뛰어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다시 두드러지고 있는 만큼 교육부와 현장,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 장기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성규 기자 dkvmf11@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