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장기화...알바하는 취준생 늘었다
코로나 장기화...알바하는 취준생 늘었다
  • 이지혜 기자
  • 승인 2021.08.25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층 생계형 알바생, 연평균 10.4%씩 증가
‘스펙쌓기’에 월 44만 원 지출, ‘무전무업’ 한숨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해 취준생들의 아르바이트가 급증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뉴시스)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해 취준생들의 아르바이트가 급증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지난달 청년 취업자 수가 21년 만에 최대로 증가했다는 통계가 발표됐지만, 실상은 알바하는 취준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2년 가까이 이어진 코로나19 사태에 공채 시장은 얼어붙고, ‘스펙 쌓기’조차 어려워 청년층이 생계형 단기 일자리에 뛰어드는 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청년층 생계형 알바생, 연평균 10.4%씩 증가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이 통계청 데이터를 보면 지난 10년간 15~64세 생산가능인구 기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체 임금근로자 연평균 증가율보다 2.8배 더 높다.

그 가운데 15~29세 청년층은 20.3만 명에서 30.9만 명으로 연평균 4.3%씩 증가했고, 30대는 11.6만 명에서 12.5만 명으로 연평균 0.8%씩 올랐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명 중 6명이 당장의 수입이 필요해 일자리를 구한 생계형 근로자인 것을 고려하면, 청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른바 취준생도 생계를 위해 아르바이트 자리에 뛰어든 셈이다.

실제 청년층 생계형 시간제근로자는 2010년 5.7만 명에서 2020년 15.4만 명으로 연평균 10.4%씩 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년간 청년층에서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는데, 이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구직 기간이 길어지면서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활비를 충당하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이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청년층 실업자 수는 37만 명으로 2016년 대비 5만6천 명 감소했지만, 이는 아르바이트 자리에 뛰어든 청년층 수가 급증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사진출처/뉴시스)
지난해 청년층 실업자 수는 37만 명으로 2016년 대비 5만6천 명 감소했지만, 이는 아르바이트 자리에 뛰어든 청년층 수가 급증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사진출처/뉴시스)

 

◆‘스펙쌓기’에 월 44만 원 지출, ‘무전무업’ 한숨

생계를 위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취준생들은 좁아진 취업문 만큼 스펙쌓기에도 공을 들여야 한다. 워낙 경쟁률이 높다 보니 더 많은, 더 뛰어난 스펙을 갖지 않으면 합격을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펙쌓기를 위한 비용이 만만치 않아 이중‧삼중고를 겪는 이가 대다수다.

취업플랫폼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함께 취준생 820명을 대상으로 스펙쌓기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7%가 ‘무전무업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무전무업이란 돈이 없으면 취업도 할 수 없다는 신조어다.

‘자격증 공부 등 온라인‧학원 수업료에 들어가는 비용이 커서’라는 응답이 70.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토익시험 등 자격 시험 응시료에 들어가는 비용이 부담돼서’ 53.9%, ‘경쟁자들에 비해 내 스펙이 너무 부족한 것 같아서’ 37.1% 등으로 조사됐다. ‘무전무업’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6.3%에 그쳤다.
 
취준생들이 지출하는 월 ‘스펙쌓기’ 비용은 44만 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대상 취업 준비 비용을 개방형으로 조사한 결과, 월평균 약 44만3,768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취준생 2명 중 1명은 해당 비용을 아르바이트를 통해 스스로 마련한다고 답했다. ‘부모님께 받은 용돈(20.6%)’, ‘기존에 모아둔 저축 금액(14.8%)’, ‘정부 지원을 통해(5.2%)’ 등 순이다.
 
취업 준비 비용 중 가장 부담이 되는 항목으로는 ‘인강비 또는 학원비’가 52.6%의 응답률로 가장 높았다. 이어 어학 및 자격증 시험 응시료(27.1%), 면접 준비 비용(11.7%) 등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앞으로 취업준비생들이 추가로 고용시장에 나오면서 구조적 취업난 문제는 더 심화할 수밖에 없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공공일자리 확대 중심의 정책보다는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기업규제 완화, 고용 유연성 확대 등 민간 고용 여력 제고에 힘이 실려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지혜 기자 2jh0626@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