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을 넘어 CF100으로, 국제사회 통용될까
​​RE100을 넘어 CF100으로, 국제사회 통용될까
  • 박은진 기자
  • 승인 2023.05.18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100 요구하는 유럽 다국적 기업 늘어나, 국내 부품회사들 계약 취소 잇따라
RE100 대항마로 CF100 내세우지만 과연 다국적 기업이 채택할지는 미지수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CFE(무탄소 에너지) 포럼 출범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국뉴스투데이] 정부가 주요 대기업들과 무탄소 전원 100% 사용하는 이른바 ‘CF100’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RE100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지만 너무 늦게 준비했다는 지적과 함께 실효성 여부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됐다. RE100은 지난 대선 당시 TV토론회에서 대선 후보 간의 공방을 벌인 핵심 주제 중 하나였을 정도로 그 중요성이 상당했다. 이런 이유로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준비를 했었어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RE100은 이제 현실화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지난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CFE 포럼’ 출범식을 열었다. 해당 포럼에는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SK하이닉스·포스코·GS에너지·두산에너빌리티 등 민간 기업과 발전 공기업 및 에너지 관련 협회 등이 참여했다.

해당 포럼은 RE100보다 높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탈탄소 전력제도를 만들자는 취지다. RE100은 2014년 다국적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이 제안한 캠페인으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자는 것이다. 현재 400여 개 글로벌 기업이 가입했다.

문제는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작기 때문에 RE100을 달성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들 수밖에 없어 RE100은 현실화됐다는 분위기다.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국내 부품회사들에게 RE100을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비중이 적은 우리나라로서는 유럽 완성차의 요구를 맞춰줄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계약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RE100 요구에 맞춰 지난 정권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려고 했지만 원전이 차지하는 경제성 등등이 있었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니었다. 게다가 탈원전에 따른 반대 목소리도 상당히 높아지면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늘리지 못했다.

그리고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간에는 RE100 설전이 벌어졌다. 윤 후보가 탈원전에 대한 비판을 가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했기 때문이다.

RE100은 그만큼 오래된 이슈였고, 이에 대한 준비를 했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정부 역시 다급했는지 RE100 대항마로 CF100을 내세웠다. CF100은 재생에너지 뿐만 아니라 원전과 수소 등 청정에너지까비 포함해 무탄소 전원을 100% 사용하자는 캠페인이다.

유엔 에너지와 유엔 산하 지속가능에너지기구(SE4ALL)가 2017년 제안한 캠페인의 원래 이름은 24시간 일주일 내내 무탄소 전원을 쓰자는 뜻의 ‘24/7 CFE(Carbon Free Energy Action)’, 국내에서는 RE100에 맞서 CF100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구글 등 100여개 기업이 CF100에 서명했지만 RE100과 달리 아직까지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 것은 아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CFE(무탄소 에너지) 포럼 출범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CFE(무탄소 에너지) 포럼 출범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국내용 구호에 그칠 수도

RE100은 현실로 다가온 문제이지만 CF100은 아직 구체화가 되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RE100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CF100을 내세운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RE100은 민간 캠페인으로 구체화되고 있지만 CF100은 이제 걸음마 단계라는 점에서 RE100과 CF100을 단순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엇보다 글로벌 기업이 RE100 대신 CF100을 인정할 것이냐는 것이다. CF100을 글로벌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장벽이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아직 원전을 고수하는 나라도 있지만 탈원전을 고수하는 나라도 있기 때문에 CF100이 글로벌 국제 기준이 되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RE100은 현실, CF100은 먼 미래 이야기

더욱이 국내 부품 업체들은 RE100은 당장 현실이 되겠지만 CF100은 먼 미래의 이야기라는 목소리가 있다. 유럽에 소재한 다국적 기업들이 계속해서 RE100을 요구하고 나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CF10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도 나오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유럽 소재 다국적 기업들이 과연 CF100에 대한 관심을 보일지 미지수다.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상당히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CF100의 글로벌화에는 한계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최근 윤석열 정부의 외교가 미국과 일본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점에서 유럽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는 미지수다.

박은진 기자 knewstoday@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