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관위 공식 출범, 시기와 방법 등 논의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관위 공식 출범, 시기와 방법 등 논의
  • 박은진 기자
  • 승인 2024.06.03 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리올림픽 이후 전당대회 치를 것으로, 당원 100% 룰 변경 가능성도
단일지도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당의 활력 위해서 필요한 조치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달 30일 충남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달 30일 충남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뉴스투데이]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가 3일 공식 출범한다. 이날 비대위회의를 열어 전대 선관위 인선안을 의결하기로 했다. 선관위가 꾸려지면 본격적으로 전당대회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파리올림픽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고, 일각에서는 집단지도체제의 군불이 지펴지고 있다. 그것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정치 복귀를 위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파리 올림픽 이후?

3일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가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서병수 위원장을 비롯해 총 11명 규모로 구성된다. 성일종 사무총장이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위원에는 여성, 청년, 원외조직위원장, 외부 인사 등으로 안배될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는 전대 개최 시기, 전대 규칙, 지도체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를 한다.

전대 시기 일정은 늦어도 6월 둘째주까지 확정하기로 했다. 개최시기는 7월 25일 이전이나 8월 10일 이후가 유력하다. 그것은 2024 파리 올림픽이 열리는 7월25일~8월10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를 피해서 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각종 전대 룰이나 지도체제 등에 대한 논의가 쉽게 결론을 내리기 힘들 것으로 보이면서 파리 올림픽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대 룰에 대해서는 현행 당원 100%이지만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지난 총선 패배 원인으로 지목된다. 영남 특히 대구·경북에 치중된 현 당원 시스템으로는 수도권 민심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일반 여론조사 비중을 30%에서 50%까지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것은 바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다. 한 전 위원장이 지난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현재 한발 물러나 있지만 여권 차기 대선 주자로 우뚝 서 있기 때문에 일반 여론조사 비중을 늘리게 된다면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이유로 당원 100%의 현행 룰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면 안된다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홍준표 대구시장이다. 따라서 전대 룰을 결정하는 것을 두고 다양한 갈등이 표출될 것으로 예측되며, 그것은 국민의힘 전대를 앞두고 엄청난 갈등이 될 수밖에 없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구성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구성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집단지도체제 부활 목소리

이런 가운데 집단지도체제 부활의 목소리도 있다. 집단지도체제란 전당대회를 치뤄 1위가 ‘대표최고위원’을 맡고, 2~5위가 ‘최고위원’이 되어 당을 공동으로 이끌어 가는 방식을 말한다. 이렇게 될 경우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전당대회에 몰릴 수밖에 없다.

거꾸로 단일지도체제는 당 대표를 따로 선출하고,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당 대표에게 상당히 많은 권한이 실리게 된다.

국민의힘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집단지도체제’를 운영해왔다. 이 시기는 국민의힘이 가장 빛났던 시기이기도 하다. 그것은 차떼기 정당의 오명을 벗어던지고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그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당 지도부로 들어오면서 당이 활발하게 움직였기 때문이고, 그 활기가 결국 정권을 획득하게 만들었다.

다만 집단지도체제는 당 대표의 권한이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것은 최고위원 간 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중재를 할 인물들이 없다는 것이다. 2016년 총선 당시 비박계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서청원 최고위원의 갈등이 보였고, 옥새 파동이 나왔다.

이같은 부작용이 나오자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했다. 하지만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하면서 당은 활력을 잃어버렸다. 그것이 이번 총선의 참패가 된 것이다. 특히 당 대표가 무너지게 되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윤석열 정부 들어서서 당 대표가 계속 교체되고, 비대위 체제로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박은진 기자 knewstoday@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