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 초음파 영상 가능한 조영제 원천기술 개발
국내연구진, 초음파 영상 가능한 조영제 원천기술 개발
  • 황미리
  • 승인 2013.12.19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뉴스투데이 황미리 기자] 기존 초음파 진단용 조영제는 마이크로 크기의 가스를 지질, 단백질 등에 단순 봉입하는 방식으로 입자가 크고 균일하지 않아 혈관 내 조영에만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체 내에 주입된 이후 혈액 순환 시간이 10분 이내로 짧아 간, 비장, 폐 등과 같은 특정 장기에만 축적되어 진단부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가스 입자를 나노 크기로 줄이게 되면, 혈액 순환시간이 길어져 다양한 인체 장기에 축적될 수 있지만, 크기가 작아 초음파 영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진단자체가 불가능했다.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초음파로 진단이 가능한 질병 영역을 크게 넓힐 수 있는 조영제 물질을 국내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히알루론산 나노버블’은 기존 마이크로 수준의 조영제(지름 약 2μm) 보다 훨씬 작은 나노 수준(지름 약 400nm)의 물질이다.

연구팀은 나노 크기의 히알루론산 입자 내에 프로판가스의 일종인 액상의 퍼플루오르펜탄을 봉입함으로써 기존 조영제의 크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히알루론산 나노버블’이 액체 상태로 8시간 이상(기존 대비 50배 이상) 체내에서 순환하면서 인체 장기에 축적되고, 이후 마이크로 크기의 가스입자로 기화되며 팽창하게 되어 초음파 영상이 가능해지는 원천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체내에서 충분히 순환하는 동안 여러 인체 장기에 축적될 수 있어 기존 조영제가 주로 간암 및 혈관관련 질환의 진단에 특화된 것과는 달리 미세한 신생혈관이 많이 형성되는 암, 류머티즘, 동맥경화 등의 난치성 질환의 진단도 초음파 검사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히알루론산 나노버블’을 간암이 형성된 쥐의 정맥에 투입한 결과, 기존의 초음파 조영제인 소노뷰 대비 120배 이상, 소나조이드 대비 3배 이상 지속된 진단 영상이 나타나는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김광명 박사는 “히알루론산 나노버블은 혈관에서 주변 조직으로의 침투력이 높기 때문에 단순 진단이 아닌, 치료 목적의 약물 전달까지 가능한 조영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히알루론산 나노버블’ 관련 기술은 국내 및 미국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KIST 의공학연구소 김광명 박사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紙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Copyrights ⓒ 한국뉴스투데이(www.koreanewstoda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미리 news@koreanews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