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시대 넘쳐나는 쓰레기, 인식 개선 절실
배달의 시대 넘쳐나는 쓰레기, 인식 개선 절실
  • 박소영 기자
  • 승인 2020.10.18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라인 음식서비스 매출 83% 증가
수도권매립지 포화, 수거 불능 상태

[한국뉴스투데이]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일상이 되며 배달서비스와 온라인 쇼핑 이용률이 급증했다. 문제는 안전함과 편리함을 얻은 만큼 처치 곤란한 재활용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5일 경기도 수원시 자원순환센터 야적장에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출처/뉴시스)
지난 5일 경기도 수원시 자원순환센터 야적장에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출처/뉴시스)

◇온라인 음식서비스 매출 83% 증가
지난 8월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4조3,833억 원이다. 이 가운데 음식서비스는 1조6,73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87억 원이 늘었다.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음식서비스가 83%로 증감률이 가장 높다.

통계청은 음식서비스는 ‘온라인 주문 후 조리되어 배달되는 음식(피자, 치킨 등 배달서비스)'으로 규정했다. 음식서비스 거래액을 최소 주문금액(2만 원)으로 나눠 계산하면 2020년 8월 기준일 주문량은 270만 건, 플라스틱 배달 용기(주문 시 최소 3개) 발생량은 최소 830만 개다. 매일 830만 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하는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속도가 쓰레기가 쌓이는 속도를 쫓아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음식서비스에 사용되는 포장재 대부분이 다른 쓰레기와 섞여 분류 작업에만 인력 소모가 상당하고, 음식물과 섞인 포장재의 70% 이상은 재활용되지도 못하고 폐기물로 재운송된다. 게다가 쓰레기 수거시설은 대부분 포화 상태로, 기존 매립지 지역 주민들의 불편 역시 극에 달한 상황이다.

◇수도권매립지 인천시 ‘2025년 쓰레기 독립’ 선언
2025년까지 수도권매립지 역할을 수행 중인 인천시는 지난 15일 ‘2025년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를 공개 선언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날 “2025년으로 설정해 놓은 수도권매립지 종료 시계는 한 치의 망설임과 물러섬 없이 달려갈 것이다”며 “쓰레기로부터 인천 독립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인천시 서구 오류동 일대에 조성된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 서울 난지도 쓰레기처리장 대체지로 선정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시‧도에서 배출한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폐기물 반입량을 보면 서울시 143만 톤, 경기도 125만 톤, 인천시 69만 톤 등이다.

수도권매립지는 당초 2016년 종료할 예정이었으나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로 구성된 협의체가 2025년까지 9년 연장에 합의했다.

인천시는 박남춘 시장의 발언대로 2025년 매립 종료를 준비하고 있다. 인천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자원순환정책을 펼칠 예정이고, 지역 여러 곳에 소각장을 짓고 소각재만 묻는 자체 매립지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2025년 종료 이후 수도권매립지 직통 전용도로를 전면 폐쇄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해 서울시의 움직임은 미온적이다. 수도권매립지 대체후보지 선정이 계속 미뤄지는 가운데, 5년 뒤 서울과 경기지역 일대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수 있게 된 셈이다.

◇쓰레기 없는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인식 개선 필요
환경부는 재활용에 대한 기업들의 경각심을 높이겠다며, 내년부터 ‘재활용 어려움’ 제품엔 재활용 분담금을 20% 할증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반대로 재활용 최우수 등급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엔 인센티브 50%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민의 인식개선과 실천이 수반돼야만 쓰레기 대란을 해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2018년 국제유가 하락, 중국의 폐기물 수입금지, 분리배출 미흡, 선별 인력 비용 증대 등으로 인해 수거 업체들이 폐비닐 수거를 중단한 사례가 있음에도 우리의 분리수거 문화가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앞으로 배달문화는 모든 식생활 용품으로 확대되고, 이용률은 더욱 증가할 것이 분명하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은 물론, 개개인의 일회용품 사용 자제와 제대로 된 분리배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안전과 편리함만을 바라보다가 삶의 터전 자체를 잃을 수 있다.

박소영 기자 lonlord@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