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서, 유튜버 다음 주자 될까
메타버서, 유튜버 다음 주자 될까
  • 이지혜 기자
  • 승인 2022.02.16 13: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상공간 누비는 크리에이터, 새로운 부의 창출
메타버서 육성, 안정적 수익 구조 형성이 첫걸음
수많은 유튜버가 새로운 가치창출의 기회를 좇아 문화를 만들어 낸 것처럼, 앞으로의 미래는 메타버서가 이끌어 갈 것이란 기대가 크다.(사진/픽사베이)
수많은 유튜버가 새로운 가치창출의 기회를 좇아 문화를 만들어 낸 것처럼, 앞으로의 미래는 메타버서가 이끌어 갈 것이란 기대가 크다.(사진/픽사베이)

[한국뉴스투데이] 미래 플랫폼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메타버스가 유튜버를 대체할 새로운 크리에이터들의 무대가 될 전망이다. 

◆가상공간 누비는 크리에이터, 새로운 부의 창출

메타버스는 ‘가상’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친 말이다. 그저 가상공간에 대한 일시적인 호기심에 그칠까 했으나 이제는 게임,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과 융합하며 열풍을 넘어 광풍을 일으키고 있다.

유튜브가 단순히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시대의 중심에 설 수 있던 것은 콘텐츠를 통한 경제 시스템 조성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 역시 단순히 흥밋거리를 넘어 유튜브의 다음 세대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것은 새로운 경제 시스템 조성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 메타버스를 무대로 활동하며 경제적 수익을 내는 크리에이터 메타버서들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누구나 자신의 게임을 만들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서는 앞서 약 100만 달러의 이익을 거둔 10대 게임 제작자가 탄생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는 150만 명 이상이 유의미한 경제적 수익을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추세에 최근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메타버스 창작자 생태계를 조성해 이전에 없던 새로운 일자리 만들기에 나섰다.

지난달 20일 정부는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을 발표하고 직접 메타버스에서 뛰어놀 역량 있는 창작자 양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에만 있는 1인 미디어 콤플렉스의 기능을 확장해 메타버스 기반 창작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신인 창작자를 발굴해 올해 총 250팀의 메타버스 미디어 창의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

플랫폼을 개발할 인력양성에도 속도를 낸다. 메타버스 아카데미를 신설해 올해 실무 전문인력 180명을 양성하고, 관련 기업의 재직자·채용예정자 700명에게 실무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아울러 4년제 대학이 연합해 융합 전문대학원을 연내 2곳 설립하며, 앞으로 6년간 약 55억 원을 각각 투입한다. 고급 기술인력과 창업 인재를 키우기 위한 석·박사 대상 '메타버스 랩'도 올해 10개에서 2025년 17개까지 늘린다.

◆메타버서 육성, 안정적 수익 구조 형성이 첫걸음

메타버서 활성화를 위한 핵심 요소는 ‘플랫폼 기업과 창작자 간의 안정적 수익 배분’이다. 유튜브가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며 무한대의 유튜버를 양성했던 것처럼, 메타버스 생태계의 열쇠도 결국 메타버서의 창작 욕구를 자극할 수익성에 달렸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수다. 특히 메타버스 경제의 핵심으로 떠오른 NFT(대체불가능토큰)에 대한 저작권 관련 이슈부터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NFT는 디지털 파일에 고유한 인식값을 보유해 위조할 수 없도록 만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을 일컫는다. 각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가치가 부여되기 때문에 만에 하나 디지털 자산의 근간이 되는 프로그램‧서비스가 사라져도 자산 자체의 가치는 남는다. 이 때문에 NFT와 메타버스의 시너지 효과에 거는 기대가 크다.

우리나라 정부는 메타버서 수익구조 형성의 필수 기반이 될 NFT와 메타버스 코인 등에 대한 제도 정비에 힘쓸 예정이다.

메타버스 내에선 NFT가 전용 화폐인 메타버스 코인으로 거래되는 형태기 때문에 이를 위한 법제 정비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이는 가상화폐 정책과 연관성이 큰 만큼 무작정 속도를 내기보다는 신중하게 사안별로 살펴본다는 게 기본 방침이다.

정부는 메타버스 산업 발전에 뒤따를 수 있는 소비자 피해나 불법 유해정보의 유통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이용자 보호에도 나선다.

다만 규제가 메타버스 발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관련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약관 또는 가이드라인을 만들도록 권장하고, 부족할 경우 정부가 윤리 원칙을 제시해 보완할 계획이다.

특히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를 수 있는 메타버스 내 성 착취, 성희롱 등 불법유해정보를 차단해 건전한 메타버스 환경을 조성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지혜 기자 2jh0626@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