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기후위기 골든타임 10년, CCUS에 주목
[2050 탄소중립] 기후위기 골든타임 10년, CCUS에 주목
  • 박상미 기자
  • 승인 2023.04.26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구의 날’, 세계 곳곳서 기후 위기 대응 촉구
지구 살리기 앞으로 10년, 대체에너지가 희망
우리나라 기술력, “감탄할 수준”…관련 정책은

[한국뉴스투데이] 전 세계 3억 6,000만 명이 식량 부족 사태로 고통을 받는다. 먹거리를 제공하던 바다 생태계는 파괴됐고,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사계절은 이제 교과서 속 이야기다. 지중해와 북미에서는 전에 볼 수 없는 대형 산불이 지난해 대비 2배로 발생하고, 10cm 상승한 해수면 아래로 몰디브와 세이셸제도가 사라진다. 인간의 손으로 데워진 지구에 재앙이 내린다. 지구의 평균 온도가 지금보다 0.5도 이상 오르게 되면 우리가 목도할 현실이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가 지난 3월 승인됐다. 보고서는 전 세계가 기후 변화를 위해 지금 당장 해결 노력을 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IPCC가 예견한 미래의 재앙과 재앙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해야할 일에 대해 짚어봤다.<편집자주>

▲지난 2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쓰레기를 위한 지구는 없다'를 주제로 열린 2023 지구의 날 행사를 찾은 어린이 등 시민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2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쓰레기를 위한 지구는 없다'를 주제로 열린 2023 지구의 날 행사를 찾은 어린이 등 시민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구의 날’(4월22일)을 맞이해 세계 곳곳에서 기후 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행사가 세계 곳곳에서 열렸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영국, 인도,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집회, 청소 행사등 지구의 환경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54번째 ‘지구의 날’
‘지구의 날’은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한 날로, 유엔이 정한 세계환경의 날(6월 5일)과는 달리 순수 민간운동에서 출발했다. 이는 1970년 4월 22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게이로드 넬슨 상원의원이 앞서 196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해상원유 유출사고를 계기로 환경문제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지구의 날'을 주창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매년 ‘지구의 날’을 전후한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정하여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생활 실천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소등행사 등을 전국 각지에서 진행하고 있다. 54번째인 올해는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2023 지구의 날’ 기념행사가 열렸다. ‘쓰레기를 위한 지구는 없다’를 주제로 지구 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실천하는 체험행사와 콘서트로 꾸며졌다. 환경 미술작가와 시민이 함께 흙물감, 흙점토 등을 활용해 지구에 보내는 메시지를 담은 대형 작품도 설치됐다. 

세계 곳곳에서도 지구를 살리려는 다양한 행사가 계획됐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각국에서 올해 54번째 지구의 날을 맞아 나무를 심고 쓰레기를 치우는 행사와 함께 정부에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을 요구하는 집회가 이어진다”고 전했다. 영국 런던에서는 환경단체 멸종 저항(Extinction Rebellion·XR)이 주최하는 행사에 수천 명이 참여했고, 미국 워싱턴DC에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화석 연료 사용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린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일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정상회의를 주재하고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녹색기후기금(GCF)에 10억달러(1조3천억원)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지구 기온 상승을 섭씨 1.5도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기후 행동에 있어서 '퀀텀 점프'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무모하게 파괴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구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자원봉사와 전시도 이어졌다. 인도 스리나가르의 '달' 호수와 최근 허리케인 피해를 본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코랄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대규모 청소 캠페인을 벌인다. ‘멸종 반대’ 단체를 주도하는 활동가들은 지구의 날과 함께하는 ‘The Big One(빅원)’이라는 4일간의 활동을 시작한다. 3만여명이 가족들과 함께 집회와 행진에 참여할 예정이다.

▲지난달 승인한 IPCC 6차 종합보고서는 지구 환경에 대해 ‘사실상 지금부터가 위기’라며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앞으로 10년’으로 못 박았다. (사진/픽사베이)
▲지난달 승인한 IPCC 6차 종합보고서는 지구 환경에 대해 ‘사실상 지금부터가 위기’라며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앞으로 10년’으로 못 박았다. (사진/픽사베이)

골든타임 10년
“this decade(10년) 안에 적응이든 완화든 deep(심층적)하고, 빠르게 해야 한다.“ ”urgent(긴급하게) 해야 한다“.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재앙을 막기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10년이다. 지난달 승인한 IPCC 6차 종합보고서는 지구 환경에 대해 ‘사실상 지금부터가 위기’라며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앞으로 10년’으로 못 박았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기상청은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종합보고서 승인 기념 포럼’에서 ‘골든타임 10년’에 동의하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회성 IPCC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앞으로 10년간 단기 기후 행동의 시급성과 중요성이 이번 IPCC 제6차 종합보고서의 핵심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10년간 집중해야 할 부분은 온실가스 감축이다. 이 의장은 ”전 세계에서 제출한 감축목표로는 1.5℃ 이하로 지구온난화 속도를 억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산화탄소 외에도 메탄을 비롯한 빠르고 급격한 온실가스 감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10년간(This decade) 에너지, 기반 시설, 기술, 정책, 수요 부문 등 전 지구적 관점에서 가능한 적응과 완화를 위한 단기 기후 행동의 실천과 확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산업 전반의 추진 과제를 수립했다. 포럼에 앞서 지난 11일 우리 정부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확정했다.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2018년 727.6백만톤에서 2030년까지 436.6백만톤으로 40% 감축이다.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방안 및 탄소중립·녹색성장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전 분야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추진과제는 에너지, 산업,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수소, 흡수원(삼림), CCUS 등으로 나누어 수립됐다.

기술력은 넘버원
목표를 달성한 2030년 대한민국은 현재의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 생산 구조에서 벗어나 저탄소 신기술에 기반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를 위해 원전 발전 비중과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각각 2021년 기준 27.4%에서 32.4%로, 7.5%에서 21.6%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수송 체계도 획기적인 변화를 계획하고 있다. 내연기관 중심으로 구성된 현재의 수송체계에서 무공해차(전기차, 수소차)로 중심을 옮긴다. 정부는 무공해차 등록 비중을 2022년 기준 1.7%(43만대)에서 2030년에는 16.7%(450만대)로 늘릴 목표다. 또 화물 운송체계를 도로에서 철도·해운 중심으로 전환하여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하는 친환경 선박의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탄소 배출량 감축의 키는 관련 기술의 발전과 활용이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이회성 IPCC 의장은 이와 관련하여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 중립 달성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확신한다”며 “기후변화를 부정적으로 보기만 할 게 아니라, 탄소배출 억제를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경제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새로운 발전의 장이 열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는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포집·저장·활용하는 것이다. IPCC에 따르면, 2040년 이전 지구 평균 온도가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구 평균 온도가 1.5℃ 상승에 그치려면 2100년까지 CCUS를 통해 최대 1조2190억톤의 탄소를 처리해야 한다. CCUS가 중요 기후변화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해외 주요국은 기술 투자 기업에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등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투자확대, 기술개발 등을 통해 최대 9500만톤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른 2030년 CCUS 감축 목표는 1120만톤이다. 2030년까지 누적으로 1680만톤의 탄소를 감축해야 한다.

CCUS 감축목표에 대해서는 기술력이 아닌 정책 미흡과 비용이 걸림돌이라는 지적이 있다. 우리나라에 탄소 저장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탄소 저장소가 부족해 런던협약(폐기물 및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협약)에 따라 포집된 탄소를 이동하기 위한 국가 간 협약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내저장소가 부족하다보니 포집한 탄소를 수출하기 위한 수송비용이 추가돼 CCUS 비용도 만만치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CCUS 비용은 탄소 1톤당 150달러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유럽, 미국과 같이 탄소중립 기술과 산업을 명확히 지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미 기자 mii_media@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