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간 카카오 등 먹통 발생
데이터 분산 등 원시적인 사고
골목상권 침해에 이어 데이터 안보 논란
국감장 다시 서는 김범수, 이번에는 과연
월 사용자 수가 4600만 명에 육박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화재로 먹통이 되면서 카카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IT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이유로 오는 24일 국회 국정감사에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국감 증인으로 출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번 사퇴에 대해 정치권의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편집자 주>
[한국뉴스투데이] 카카오에서 지난 주말 대규모·최장기 셧다운 사태가 발생하면서 IT강국대의 대한민국 현주소가 드러났다. 앞서 과천 삼성SDS 데이터 화재, 2018년 KT아현지사 화재 등 통신대란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그 대책을 약속했지만 이번에도 민낯이 드러났다. 이번에는 백업 체계가 가동되지도 않았고, 재난 대응 매뉴얼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과연 사회적 책임을 제대로 했냐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있어서는 안되는 사고
지난 15일 오후 카카오 등 데이터 관리 시설이 입주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카카오 먹통’ 사태가 발생했다.
화재 진압 과정에서 전원을 차단하면서 불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원시적인 사고라는 비판이 불가피하다.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데이터 분산 작업을 하거나 백업 체계를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화재 직후 이원화 조치를 적용하고 재난복구(DR) 훈련도 했다”고 해명했지만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기본적인 것을 하지 않았다는 판단이 나온다. 전원을 차단했다고 해도 다른 백업 시스템이 가동해서 즉각 정상화돼야 하지만 장시간 동시다발 장애를 일으켰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조치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치권에서는 만약 적이 미사일로 해당 건물을 폭파시켰다면 전국적으로 대혼란이 발생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즉, 외교 안보적으로도 문제가 가장 큰 것이라는 것이 이번에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지난 12년 동안 메신저 서비스 기반으로 문어발식 사업확장에만 급급한 나머지 백업 시스템, 비상대응 매뉴얼 구축 등 기본적인 투자에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또한 데이터를 보관·관리하는 센터 또한 화재를 방지하고 위험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데 이를 대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부 기업들은 미사일 공격에도 서버가 돌아가게끔 설계하는 등 안보적인 책임도 지고 있는데 카카오는 그런 책임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범수 증인 출석 불가피
이런 이유로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오는 24일 국회 국정감사 출석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4일 국정감사에 카카오와 네이버, SK C&C 대표 등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은 이미 논의돼왔다. 그런데 이번 사고가 발생하면서 여야 모두 김 의장의 증인 출석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가뜩이나 카카오의 문어발식 확장에 대해 여야 모두 의구심을 품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번 사건은 증인 출석 여론을 더욱 가속화시켰다는 평가다.
이는 카카오 사업의 위축으로도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문어발식 사업 확장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카카오 사업에 대한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골목상권 논란에 이어
김 의장은 지난해 국회 국감에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겪은 바 있다. 카카오는 이에 골목상권 침해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 사업들은 철수하고 중소상인들과 상생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후 카카오는 전통시장·모빌리티 업계 종사자·금융소외 계층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내놓으며 상생 행보를 이어갔다. 하지만 올해 화재가 발생하면서 이번에는 데이터 안보 논란에 휩싸이게 됐다.
이에 카카오의 사회적 책임이 다른 기업에 비해 너무 부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가 이에 대한 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또 다시 비난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