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뉴스투데이] 서울중앙지법이 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 ‘정교유착 국정농단’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통일교 71년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 이어 한 총재의 구속이 이어지면서 국민의힘은 상당히 곤혹스런 상황에 놓이게 됐다. 문제는 국민의힘이다. 통일교에 흔들리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이번 구속에서 드러났다는 점이다. 국민의힘이 개혁을 하지 않는 이상 취약점은 그대로 드러날 수밖에 없다.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결국 구속됐다. 특검에 따르면 한 총재는 2022년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1억원의 정치자금을 전달하며 통일교 지원을 청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2023년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권 의원을 당 대표로 밀기 위해 교인들을 대거 입당시켰다는 의혹도 있다.
특검팀에 따르면 통일교 신도로 추정되는 11만명 규모의 국민의힘 명단을 확보하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윤 부부 원하는 후보 지지 목적
특검에 따르면 통일교가 국민의힘 당 대표 선출을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원하는 후보를 지지할 목적으로 교인들을 집단 입당시켰다는 의혹이 있다. 국민의힘은 당원 명부 숫자가 500만명이기 때문에 11만명은 큰 수치가 아니라면서 의미가 없는 숫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이야기한 500만명은 일반당원을 의미한다. 입당만 하면 일반당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당원의 탈당은 일반당원이 탈당계를 제출해야 탈당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로 활동을 하지 않고 이름만 올린 당원들이 많다.
하지만 특검이 주목하고 있는 통일교 당원들은 바로 책임당원이다. 책임당원은 1년에 3개월 이상 당비를 낸 당원을 의미하고, 지난해 기준 76만명인 것으로 보인다. 76만명에서 11만명은 상당한 비중이 될 수밖에 없다.
책임당원은 일반당원과 달리 전당대회에서 1인 1표를 행사할 수 있다. 일반당원은 소수만 투표권을 얻지만 책임당원은 1인 1표이기 때문에 11만명은 표심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다.
특검은 통일교가 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에 이런 시도를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 당시 친윤계 김기현 의원은 총 46만 1313표 중 24만 4163표를 얻어 당대표로 선출됐고, 2위인 안철수 의원운 10만 7803표를 득표했다. 통일교가 충분히 표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만큼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특정 세력에 의해 표심이 좌우되는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나마 책임당원 증가
그나마 책임당원이 증가해서 76만명이다. 2022년 12월 친윤 정진석 당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의 발언에 따르면 2021년 책임당원이 28만명인데 80만명으로 증가했다. 정진석 비대위는 당 대표 선출 룰을 당원투표 70%와 국민여론조사 30%에서 당원투표 100%로 바꿨다.
그러면서 선거인단 83만명 중 책임당원 78만명의 투표가 절대적일 수밖에 없다. 여기에 통일교 당원들이 대거 표심에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종교인들의 당원 동원력은 일반 동원력보다 상당하다. 교주의 지령에 따라 표심이 달라지고, 이들의 투표율은 100%이다.
이런 이유로 통일교 11만명 당원 가입이 2023년 전당대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했을 것이라는 혐의가 있고, 특검이 이를 들여다보고 있는 것이다. 만약 통일교가 조직적으로 당원 가입을 하고, 전당대회에 표심을 행사했다면 이는 정당법 위반이다.
당원 100% 투표의 문제
우리 헌법은 정치와 종교를 분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국민의힘의 이번 통일교 사태는 상당한 파장이 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현재 국민의힘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전당대회 룰로 당원 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적절히 섞어서 당심과 표심을 맞추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당원 100% 투표를 하면서 표심이 왜곡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특정 세력이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당 대표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의힘이 당원 구성에 종교의 비중이 높아지는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아울러 현재 특정 세력에 의해 좌우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