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뉴스투데이] 국민의힘 내부가 삐걱거리고 있다. 당 대변인이라는 인물이 장애인 혐오 발언을 쏟아냈고, 결국 참지 못한 김예지 의원이 자당 소속 대변인을 고소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당 지도부는 엄중 경고 조치로 끝냈다. 그러면서 송언석 원내대표는 자그마한 일이라면서 넘어가려고 했다.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여기에 장동혁 대표는 극우 연대까지 언급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과연 치를 마음이 있는지 의심이 들 정도다.
사건은 지난 12일 박민영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이 유튜브 방송에서 장애인 너무 많이 할당을 해서 문제라고 말했다. 이는 김예지 의원을 저격한 것이다. 이는 김 의원이 발의를 했다가 철회한 장기이식법 개정안 때문이다.
김 의원이 발의한 ‘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 질환자 복지 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복지법)’ 개정안과 연결시켜 이른바 장기 적출 음모론을 꺼내든 것이다. 장기 적출 일당에 잡혀가서 적출 당해도 합법적이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장애인 혐오를 꺼내든 것이다.
해당 영상이 업로드 되고 문제가 커지자 박 대변인은 SNS에서 “장애인 할당이 많다고 주장한 것은 국회 전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힘 비례대표 중 당선권(20번 미만)에 장애인이 3명이나 배정된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민영 다급히 사과
박 대변인은 장애인이라는 정체성을 발패로 세우는 행위에 대한 비판이었다며 혐오와는 무관하다고 다급히 사과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지난 17일 박 대변인을 고소했다. 같은 당 소속 동료들끼리 법적 분쟁을 일으킨 것이다.
문제는 이 사건에 대한 당 지도부의 태도이다. 당 지도부는 박 대변인에게 ‘엄중 경고’ 조치를 내렸다. 그러면서 당직자 전원에게 언행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그런데 송언석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박 대변인의 논란에 대해 “당내에 있었던 일을 가지고 지나치게, 과다하게, 언론에서 반응해 주시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조금 자제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왜 국민의힘이 노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일 중에 굳이 내부에서 서로 간에 일어난 ‘자그마한’ 일을 가지고 이렇게 오랫동안 집착해 기사화하려고 하느냐”고 따졌다.
박 대변인의 발언 논란을 ‘자그마한 일’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이것이 오히려 논란을 증폭시켰다는 평가다. 당장 장애인 단체에서는 박 대변인을 징계하고 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당 안팎에서도 경징계로 끝날 일이 아니라면서 당 지도부의 경징계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친윤과 친한의 갈등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12.3 비상계엄과 연관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의원이 12.3 비상계엄 당시 해제결의안 표결에 참여하기 위해 국회 담장을 넘고 싶었지만 몸이 불편한 관계로 한동훈 전 대표가 만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보니 친윤계에서는 김 의원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박 대변인이 김 의원을 저격한 것도 이런 상황 속에서 이뤄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박 대변인의 장애인 혐오 발언에 이어 당 지도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그에 따라 중도층 확장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여기에 장동혁 대표가 지난 16일 한 유튜브 채널에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전광훈 목사 등 강성 우파 인사들과의 연대를 시사했다.
뜨악한 당 내부
당 내부에서는 뜨악하는 분위기다. 가뜩이나 강성 우파와의 절연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강성 우파와 연대를 언급했다는 것 자체가 내년 지방선거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이에 장 대표는 국민의힘이 여의도 섬에 갇혀 있어서는 안된다며 중도 확장도 중요하지만 이재명 정권과 맞서 싸워야 하는 모든 우파 시민으로 확장해야 한다면서 반박했다.
장 대표는 황 전 총리가 체포될 당시 ‘우리가 황교안’이라고 발언, 당 안팎의 비판을 받은 바가 있다. 이런 일련의 상황을 두고 당 안팎에서는 당 지도부가 내년 지방선거를 포기한 것이냐며 새로운 지도 체제를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도 읽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