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뉴스투데이] 올 상반기 기준 15~54세의 18세 미만 자녀를 둔 기혼여성 고용률이 64.3%로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경력단절여성은 110만 5000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 15~54세 기혼여성은 740만3000명으로 전체 같은 연령대 여성의 56.3%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에는 유배우·이혼·사별 등이 포함된 것으로 기혼여성 수는 25만1000명 줄었다.
하지만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415만명 중 취업자는 266만9000명으로, 고용률은 64.3%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9%p 상승한 규모로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 고용률은 45~49세가 6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50~54세 66.5%, 35~39세 64.7%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 연령별로는 13~17세 자녀를 둔 경우가 70.4%가 가장 많았고 7~12세 66.1%, 6세 이하 57.7%였다.
산업별로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47만5000명, 17.8%), 교육서비스업(41만7000명, 15.6%), 도매·소매업(33만4000명, 12.5%) 순으로 기혼여성 고용률이 높았고 직업별로는 관리자·전문가 93만6000명, 사무종사자 77만명, 서비스 종사자 36만3000명 순이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221만6000명(83.0%), 비임금근로자 45만3000명(17.0%)로 나타났고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78만6000명(80.6%), 임시·일용근로자는 43만명(19.4%)으로 조사됐다.
반면 경력단절여성은 110만 0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명 감소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저치를 보였다. 연령층별로는 40~44세가 30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23만4000명, 45~49세 19만6000명 순이었다.
경력단절 이유는 육아기가 49만명(44.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결혼 26만8000명(24.2%), 임신·출산 24만4000명(22.1%) 순이었다.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이 46만6000명, 5~10년 미만 24만7000명, 1년 미만 14만6000명, 1~3년 미만 12만5000명, 3~5년 미만 12만2000명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