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기술, 차세대 공공안전용 모바일 브로드밴드 주도할 듯
LTE 기술, 차세대 공공안전용 모바일 브로드밴드 주도할 듯
  • 전주호
  • 승인 2015.07.06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안전 분야, 기존 LMR 기술 대체 불가피
재난통신 시 미디어 등 전송 데이터의 고용량화와 보안성 향상 등의 기술적 필요로 인해 공공안전 분야에서 기존 LMR의 기술 대체는 불가피한 현상이다.

이와 관련해 The Public Safety LTE & Mobile Broadband Market은 긴급 및 비상 상황에 주로 활용되어 온 기존의 음성 중심의 지상무선통신(LMR) 기술은 대역폭의 제약 때문에 최근 대체 기술로써 LTE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중이라고 지날달 11일 발표한 바 있다.

Land Mobile Radio는 일반 무전기보다 출력 전력이 높고, 주파수 사용 시 허가가 필요한 무전기 및 무선통신기를 말한다.

발표된 내용을 보면 산업 생태계 확장, 주파수 유연성 및 통신 성능 측면에서 LTE 기술은 차세대 공공안전용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주도할 것이 유력시된다고 발표 했다.

공공안전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LTE 표준으로 재난용 단체무선통신 MCPTT(Mission Critical PTT) 등에 대한 작업이 진행 중인 한편, 아직 표준화가 진척 중인 상황 하에서도 중동 및 아태지역에서는 공공 안전 기관들의 LTE 조기 도입이 증가 중이라고 전했다.

카타르 내무부(MOI)는 유럽용 표준인 무전기 송수신용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공공분야의 휴대형 무전 통신 규격) 네트워크를 보완하기 위해 사설 800MHz LTE 네트워크를 추가로 제공했으며, 이후부터 전 세계적으로 공공안전용 사설 LTE 네트워크 채택이 확산 중이다.

중국의 리장시(市) 경찰청은 감시 카메라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용으로 20개의 사설 LTE 네트워크를 이용 중이다.

미국에서는 국가재난안전망인 FirstNet 구축의 일환으로 산발적으로 사설LTE 구축이 추진 중이다.

유럽에서는 MVNO를 중심으로 상용 LTE 기반의 공공안전 브로드밴드 서비스제공 경향이 두드러지며, 이외에도 CIAB(Cell-in-a-Box)와 같은 군사용 이동형기지국 등의 사설 LTE 시범 사업 역시 꾸준히 전개 중이다.
사진=McKinsey & Company 페이스북

2015-2020년 기간 동안 공공 안전 LTE 인프라 투자는 매년 40%에 가까운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말 기지국, 모바일 코어 및 모바일 백홀 장비 등을 포함한 인프라투자는 2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공공안전 LTE 단말기 시장 역시 2020년 400만 대의 연간 출하량을 기록하며 인프라 시장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 통신사와 공공 안전 MVNO 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망을 임대해서 통신서비스를 재판매하는 사업자)들은 2020년 공공 안전 LTE 서비스매출 분야에서 2015년 이후 매년 50%의 성장률을 보이며 8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LMR 업체들은 노키아, 화웨이, 에릭슨, 알카텔루슨트 등의 대형 LTE인프라 업체들과 협력을 통해 포괄적인 엔드투엔드형 LTE 솔루션 제공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LTE 인프라 업체와 공공안전 시스템 통합 업체들 간의 업계 재편 역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NIA 엄나래 연구원은 전국망 규모의 네트워크를 확보한 우리나라는 공공안전 통신망으로써 LTE로의 기술 이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입지에 놓여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전 세계 시장 발전과 보조를 맞추고 국내 관련 기업들의 생태계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호환성, 보안 및 표준 기술 등과 관련한 국제 기술단체, 주요 기업들의 동향과 경제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

[한국뉴스투데이 전주호 기자]

Copyrights ⓒ 한국뉴스투데이(www.koreanewstoda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호 news@koreanews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