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앞두고 표심은 요동
장기화되면 수도권 전체 확산
[한국뉴스투데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전면 백지화하면서 경기 동부 벨트의 내년 총선 표심이 요동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여당 텃밭인 경기 동부이지만 내년 총선은 어떤 식의 선거 결과가 나올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경기 동부 벨트의 지방자치단체장이 국민의힘 소속이지만 좌불안석인 상황이다. 이러다가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전멸 사태가 나올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수상한 민심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사업 전면 백지화의 후폭풍이 거세다. 당장 경기 동부 벨트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경기 동부 벨트가 요동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전면 백지화를 선언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분위기다.
왜냐하면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사업의 혜택이 비단 양평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경기 동부 벨트 10여개 시군에 모두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것은 1안과 2안을 선택하는 문제와는 완전히 다른 성격이다. 1안은 양평군 양서면을 종점으로 하고, 2안은 강상면을 종점으로 하는 안이다.
그런데 전면 백지화는 경기 동부 벨트 즉 10여개 시군을 관통하는 고속도로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얘기가 달라진다. 사실 1안이냐 2안이냐를 두고 경기 동부 벨트는 ‘남의 나라 이야기’였다. 왜냐하면 양서면이냐 강상면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서울과 양평을 짧은 시간에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전면 백지화는 날벼락이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비단 양평 군민만의 숙원 사업이 아니라 경기 동부 벨트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이다. 경기 동부 벨트는 경기 서부벨트에 비해 상수원 보호 구역이라는 이유로 낙후됐다.
발전을 원했던 경기 동부 벨트 주민들에게 서울-양평 고속도로 추진은 희소식이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전면 백지화를 선언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국민의힘 지지층은 ‘민주당 탓’하면서 민주당을 향해 화살을 돌리고 있지만 중도층의 경우 단순히 민주당에서 김건희 여사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고 사업 자체를 전면 백지화 선언한 원 장관의 행보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분위기다.
경기 동부 벨트 정치권은 이번 전면 백지화가 경기 동부 벨트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동안 국민의힘을 지지해왔던 경기 동부 벨트이지만 내년 총선에서는 어떤 표심 결과를 내놓을지는 미지수가 됐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경기 동부 벨트에 대한 걱정이 나오고 있다. 유일하게 수도권에서 휩쓰는 지역이 경기 동부 벨트인데 이런 식으로 하면 내년 총선을 기약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급하게 모인 지자체장들
결국 지난 10일 방세환 광주시장과 이현재 하남시장, 전진선 양평군수는 하남시청 상황실에 모여 고속도로 건설사업 재개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역 민심이 수상하다는 것이다. 지역 민심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을 왜 정치권이 좌우하냐는 분위기다. 정쟁에 의해 사업이 좌초된다는 것 자체에 분노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3개 지자체장도 알고 있기 때문에 급하게 공동 입장문을 발표한 것이다. 이들은 공동 입장문을 통해 건설 사업을 전면 재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다만 원 장관은 여전히 재개할 뜻이 없어 보인다. 이런 이유로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출구전략을 찾고 있다. 가장 유력한 출구전략으로 양평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투표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경기 동부 벨트 주민들 전체를 대상으로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주민투표 내용은 ‘재개’ 여부와 ‘1안과 2안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등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장기화 되면 국민의힘 불리
또한 전면 백지화가 장기화되면 국민의힘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왜냐하면 해당 이슈가 경기 동부 벨트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도권 전체의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양평에 갇혀 있었던 이슈가 전면 백지화로 경기 동부 벨트 이슈로 부각된 상태인데 장기화가 되면 수도권 전체 이슈로 번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국민의힘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하루라도 빨리 출구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슈가 장기화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